카테고리 없음

관습법 상 법정지상권 소멸 위헌법률심판 사례 상 법정지상권 존속기간

아이템벨리노에 2019. 9. 19. 04:41

- 관습법 상 법정지상권 소멸




법정지상권 또는 관습법상 지상권 등 성립 여부에 따라 지상건물 철거가 또 관습법상의 법정지상권은 1993년 D에게 대지 소유권이 이전되었을 때 성립한다. 시점인 1993년으로부터 15년이 경과한 때 존속기간 만료로 소멸한다. 법정지상권의 범위와 존속기간은?


②관습법상의 법정지상권이 성립되기 위하여는 토지와 건물 중 어느 하나 . 관습상의 법정지상권도 민법 제287조에 따른 지상권소멸청구의 의사 관습법상의 법정지상권





짜고 토지만 매입했다고 주장하면 관습법 상의 법지가 성립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대법원 2005다 41771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의 성립요건을 살펴볼까요?? 1. 처분 법정지상권 권리분석




- 관습법 위헌법률심판




헌재 2016. 4. 28. 선고 2013헌바396, 2014헌바394병합 결정 1. 사건개요 甲은 乙과 사이에 딸 丙을 두었는데, 丙은 1940년 2월경 혼인하여 甲의 민법 시행 이전의 구 관습법이 위헌법률심판 대상이 되는가


하지만 대법원은 2007년 관습법은 헌재가 위헌법률심판을 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라고 판단해 두 기관의 마찰이 예상된다. 더욱이 대법원은 헌재 관습법도 위헌법률심판 대상





효력을 부인할 수 있으므로 대법원 2003. 7. 24. 선고 2001다48781 전원합의체 판결 등 참조, 결국 관습법은 헌법재판소의 위헌법률심판의 대상이 아니라 할 것이다. 관습법이 위헌법률심판의 대상인지 여부 소극




- 관습법 사례




2 관습상의 사도통행권 인정이 물권법정주의에 위배된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1 민법 제185조는, 물권은 법률 또는 관습법에 의하는 외에는 임의로 창설하지 판례정보


와 서양근세의 민사관습법civil customary law에 필적하는 실체가 존재 .. 는 사례는 전혀 찾아 볼 수 없고, 판례를 통하여 관습이 실정화되는 사례도 상상할 수 없. 동아시아 전통사회의 관습법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관습법慣習法, 독일어 Gewohnheitsrecht은 가장 오래된 법의 연원으로서, 불문법의 하나이다. 관행을 무시할 자유가 사례로 입증되면 법적확신의 획득은 인정될 수 없다. 관습법은 법에 있어서 가장 오래된 연원이지만 법학에 있어서 관습법에 ‎성립요건 · ‎법적확신 · ‎사실인 관습과 관습법 비교 · ‎관습법이 헌법에 위배 관습법





관습법상의 법정지상권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2. 토지와 건물이 동일인 소유였다가 각각 그 소유를 달리하여야 하는데 이때 그 소유를 달리하는 원인으로 인정되는 경우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에 대한 사례




- 관습법 상 법정지상권 존속기간




법정지상권의 범위와 존속기간은?


그러나 법정지상권은 법률과 판례상으로 확립되는 권리이기 때문에 이를 경매법원 . 경우에도 법정지상권이 성립한다 할 것이고, 이 경우 법정지상권의 내용인 존속기간 그 건물이 관습법상의 법정지상권이 성립하여 법정지상권자에게 점유 사용할 법정지상권과 관습에 의한 법정지상권





설령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의 존속기간을 30년으로 보더라도 역시 2004. 3. 15.에 기간이 만료되어 소멸하였다고 주장한다. 민법 제281조 제1항, 제280조 제1항 제1 서울중앙지방법원 2002나61872 건물철거 등법정지상권


계약을 체결한 경우에는 관습법 상의 법정지상권을 포기한 것으 로 봄이 상당하다계약으로 전세권의 존속기간을 정하지 아니한때에는 그 기간은 민법280 조의 최단 관습법상의 법정지상권